본문 바로가기

로마네스크3

로마네스크 미술 궁륭을 이용한 건축로마네스크라는 명칭은 로마의 같은 이라는 뜻으로 19세기에 고안된 말이다. 원래 이 용어는 주로 건축에서 사용된 것으로, 11세기 후반과 12세기 유럽의 전형적인 거물들이 두꺼운 벽과 아치가 있는 고대 로마의 소ㅓㄱ조 건축과 닮았음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로마네스크 건축의 가장 특징적인 형태는 궁륭의 이용이다. 궁륭은 석조로 된 궁륭은 석조로 된 둥근 지붕으로 덮힌 공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원주나 문설주 위에 수평 들보가 가로 놓인 상인방 구조의 입구와는 완전히 다르다. 궁륭의 기본 구조는 아치와 버팀기둥 체계이다. 버팀기둥은 자유롭게 서 있는 단단한 석조 지탱물이다. 궁륭을 이루게 되는 아치는 일련의 쐐기모양 벽돌로 이루어진 구조 전체이다. 이 벽돌들은 부스와르라고 하는데 이것은 입구 위.. 2017. 2. 26.
초기 기독교 미술 기독교가 내세의 구원에만 관심을 두었기 때문에 지상의 물체를 사실적으로 재현하려는 경향은 자연히 사라지게 되었다. 누드는 완전히 사라지게 되었고, 심지어 옷을 입고 있는 육체도 해부학적인 정확성이 무시되곤했다. 육체와 정신 사이의 조화로운 균형을 추구하는 그리스 로마 시대의 이상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았다. 그 대신 중세이 미술가들은 영혼의 표현에 치중했는데, 특히 새 신자들에게 교회의 교리를 전다하는데 전력을 다했기 때문에 이 시기 미술은 종교의 시녀가 되었다. 신학자들은 신자들이 물지의 아름다움을 통해 신성한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다고 믿었고, 그 결과로 매혹적인 모자이크와 회화, 조각품이 만들어 졌다고 한다. 건축에서 신성에 대한 지향은 보다 발고 가벼운 건물의 형태로 나타났다. 육중하고 거대한 로.. 2017. 2. 26.
비잔틴, 로마네스크, 고딕 중세의 천년왕국서기 325년, 기독교는 저물어가는 로마제국의 국교로 공인되었다. 이는 곧 그 유산을 계승한 새로운 민족, 즉 로마인들이 야만인이라 칭했던 타민족들의 신앙이 되었다. 기독교화된 로마제국의 동방의 잔재인 비잔티움이 번창하는 동안 서로마제국은 붕괴되었으며, 붕괴된 서로마 제국의 주들이 서로 흩어져 프랑크, 서고트, 부르군트, 앵글로-색슨, 룸바르디아등의 호전적인 야만왕국으로 흡수되었다. 이후에 이어지는 400년경부터 1400년경에 이르는 천년간의 시대를 역사가들은 중세 또는 암흑시대라고 불러왔다. 고대와 근대 사이의 기간 즉 중세는 삶은 공허하고 끔찍한 암흑의 시대이며 단순히 두 문명의 중간에 낀 공백 기간일 뿐, 이라고 수세기동안 간주되었다. 그러나 중ㅅ의 미술이 거칠고 원시적이라는 역사학자.. 2017. 2. 26.